:)

[Tableau] 데이터 표현 및 계산 방법 본문

Data Visualization

[Tableau] 데이터 표현 및 계산 방법

andre99 2025. 2. 14. 15:44

21. 필터

  • 필터링은 데이터 분석에서 필수적인 부분. 뷰뿐만 아니라 쿼리 속도나 데이터 용량 측면에서도 필터 핸들링에 따라 성능 차이 많이 남.
  • 태블로가 통합 문서에서 필터를 실행하는 순서: 추출, 데이터 원본, 컨텍스트, 차원, 측정값, 필터 순으로 동작함.

1) 추출 필터

데이터 원본에서 '연결' 부분에서 라이브와 추출 중 추출 선택 -> 편집 -> 원하는 필터 추가하기

 

2) 데이터 원본 필터

작업을 위한 데이터 중 일부만 워크 스페이스에 불러올 때 사용. 맨 오른쪽 필터 부분에서 추가하기 선택해서 필터 추가 가능

 

3) 컨텍스트 필터

  • 필터 중 상위 필터. 다른 필터가 컨텍스트 필터에 종속되어 작동.
  • 범주 중 '기술'만 선택해서 매출 상위10개 제품 표현.
  • 컨텍스트 필터가 적용되면 필드 색상이 회색으로 변경되고 필터 선반에서 맨 위로 정렬되어 재정렬은 불가능. 종속 필터를 필터 선반에 두기 이전에 컨텍스트 필터를 먼저 설정하면 쿼리 속도가 향상됨.

 

 

 

 

4) 차원 필터

  • 일반: 목록에서 선택, 사용자 지정 값 목록, 모두 사용 및 제외
  • 와일드카드: 해당 단어를 포함하는 필드, 일정 문자나 숫자로 시작하고 끝나는 필드, 일치하는 필드 선택 가능.
  • 조건: 필드에 조건을 걸어 데이터 가져올 수 있음.
  • 상위: 상위 N개의 데이터 필터링.

22. 그룹

데이터 표시하는 방법에는 그룹, 계층, 집합이 있음.

  • 그룹: 수동으로 필드에 있는 항목들을 묶을 수 있고 기존 데이터 원본에 없는 사용자 지정 그룹 필드를 만들 수 있음.

제품과 수익을 보여주는 막대차트: 각 회사별 제품들 그룹화.

방법1) 뷰에서 그룹 만들기

방법2) 항목별로 묶을 필드를 선택해 만드는 방법


23. 계층

계층: 뷰에서 데이터를 Drill Down해 값을 세부적으로 찾을 때 유용한 방법.

EX) 위치: 국가/지역, 지역, 주/시/도, 시(도시)


24.집합

집합: 사용자가 직접 어떤 조건을 설정하고 그 조건을 기반으로 데이터들을 구분하는 방법.

주/시/도 우클릭 -> '만들기'에서 '집합'을 선택. '일반'은 수동으로, '조건'은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데이터들을 묶어 두기, '상위'는 필드 기준별로 상위/하위 순서로 데이터 묶어준다. 충족된 데이터는 노란색(IN), 남은 데이터들은 파란색(OUT)으로 묶여져 구분됨.


25. 결합 집합

두 가지의 조건을 적용할 때 사용.


26. 계산된 필드

데이터 패널, 분석 탭 사용, 사용하고자 하는 필드 위에 마우스 우클릭해 만드는 방법이 있음.


27. 기본 계산

계산된 필드는 크게 기본 계산, 테이블 계산, LOD 표현식으로 나눌 수 있음.


28. 집계 계산

태블로는 뷰에서 필드 레벨에 따라 해당 레벨에 관련된 레코드를 통해 계산해서 원한 값을 반환해서 데이터를 확인.


29. 테이블 계산

테이블 계산은 뷰에 보이는 내용을 바탕으로 데이터가 계산됨.

'계산된 필드 만들기'에서 '테이블 계산' 선택하면 테이블 계산 함수 사용 가능.


30. 퀵 테이블 계산

퀵 테이블: 테이블 계산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테이블 계산 유형들을 클릭만으로 가능하도록 만들어 놓은 기능

분기별 누적 매출 & 월별 매출 차트:

각 제품에 대한 연도별 매출 차이:

퀵테이블 계산 →  '차이': 측정값이 기준값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표현.

비율 차이는 측정값들 사이의 성장률 또는 % 차이를 표현:

지역별 제품 매출 순위와 구성비율:

구성비율은 전체에서 각 항목들의 비중을 확인할 때 활용.

백분위수: 전체에서 각 멤버들의 백분위 표시.

이동평균: 이전 값부터 현재까지 값에 대한 평균을 낼 때 사용. 주로 주식데이터에서 활용.

YTD (Year to Date):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연도부터 그 시점까지 총계. 기본적으로 '누계'와 같은 개념이지만, '연도'보다 하위레벨 필드인 '분기' / '월'이 있어야 사용 가능.

통합성장률

전년 대비 성장률: 이전 연도 대비 얼마 정도 성장했는지를 살펴보는데 활용.

2021의 전년인 2020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2021 전년 대비 성장률은 공백이다.

YTD 성장률:

'Data Visualiz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bleau] Order of Operations  (0) 2025.02.27
[Tableau] 테이블 계산  (0) 2025.02.27
[Tableau] 시각화 방법 (2)  (0) 2025.02.14
[Tableau] 시각화 방법 (1)  (0) 2025.02.07
[Tableau] Intro  (0) 2025.02.07